오늘의 건강정보는 한라봉의 효능 및 품종 특성, 구입요령, 보관법에 대하여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한라봉 이란?
감귤류에 속하는 한라봉은 운향과(Rutaceae)식물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생산되고 소비되는 감귤류는 크게 밀감. 금귤 그리고 한라봉(Hallabing tangor)으로 나눕니다.
한라봉은 현제 제주도 특산물 중 하나로 1972년 일본 농림수산성 과수시험장에서 청견과 폰캉이라는 품종을 교배시켜서 만든 만다린계 교잡종 감귤.
한라봉은 꼭지부분이 마치 한라산의 봉우리 모양과 비슷하다고 하여 이름이 붙여진 것으로 알려짐.
열매가 크고 과육이 많아 육질이 부드러우며, 즙이 많아 단맛은 강하고 신맛은 거의 없어 식용으로 재배되고 있습니다.
한라봉은 과경부에 혹이 있고 껍질은 손으로 쉽게 벗길 수 있으며, 속은 부드럽고 과육이 풍부하여 맛이 좋습니다.
크기나 모양이 오렌지와 비슷하지만 표면이 더욱 거칠고 당도가 높으며, 육질이 부드럽고 즙이 많은 것이 특징.
재배환경에 따라 성분 함량이 각각 다를 뿐 아니라 같은 나무에 달려 있는 과일의 개체 그리고 개체 내의 부위에 따라서도 성분이 다를 정도의 특이한 품질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린나무는 곧게 자라고, 열매를 맺을 무렵부터는 옆으로 갈라지며, 가는 가지는 순이 빽빽하게 나고 길이는 짧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조례제정에 따르면 한라봉의 당도는 12Brix 이상이며, 산함량은 1.1%이하로 상품규격을 정하였으나 보통 13~14Brix 정도.
재배지역 또는 재배관리기술 수준에 따라 한라봉의 당도는 16Brix 이상도 가능하다고 함.
제주지역에서만 생산되었던 한라봉은 지구 온난화 등으로 인하여 거제, 나주 등 남해안 일대 뿐만 아니라 밀양, 전북 및 김제까지 재배 지역이 점점확대 되고 있습니다.
한라봉은 현재 제주도 및 전남지역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충주에서는 ‘탄금향’으로 재배되고 있습니다.
2. 한라봉의 품종특성 구입요령
- M16A한라봉
일반 한라봉에 비해 새순이 충실하고 잎도 크며, 수세가 좋고, 당도는 일반 한라봉과 비슷하지만 산 함량이 낮습니다.
- 비풍(히노유타카)
한라봉과 비교하면 과실외관은 큰 차이가 없지만 꼭지 깃이 약간 큰 편, 수세가 좋고 산 함량 감소가 빠르기 때문에 안정된 꽃 수 확보와 물 관리에 주의필요.
- 사가 34호
숙기는 한라봉보다 빠르고, 해거리현상은 적지만 수세는 한라봉보다 강함. 과육은 한라봉과 비슷, 과즙이 많고, 산 함량이 낮으며 성숙기가 빠름.
3. 한라봉 구입요령
- 껍질이 들뜨거나 주름이 많은 것은 싱겁거나 신맛이 강한 경우가 많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껍질이 얇은 것이 당도가 높습니다).
- 금방 수확한 것은 푸석하고 즙이 적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손으로 들었을 때 묵직한 느낌이 들고 위아래가 타원형인 것을 선택.
4. 한라봉의 효능
감귤보다 당도나 비타민C가 월등히 높아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주고 추위를 이길 수 있게 해줍니다.
브로콜리와 함께 먹으면 철분의 체내 흡수를 도와줍니다.
한라봉의 과육에는 나리루틴(narirutin), 헤스페리딘(hesperidin) 등 기능성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습니다.
비타민C와 같은 강한 항산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알츠하이머병 등의 뇌질환 예방 및 항암효과 등 다양한 병리 기작에 긍정적으로 작용.
항산화 물질인 카로티노이드 성분이 풍부해 노화방지효과 및 카로틴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눈 건강에도 도움.
당도가 높고 신맛이 나는 구연산과 비타민C가 풍부해 신진대사를 원활하게해주고 피로회복과 감기예방에 효과.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정보] 오곡의 효능, 영양성분, 섭취방법 (0) | 2022.01.09 |
---|---|
다낭성 난소 증후군에 좋은 이것은? (0) | 2022.01.06 |
들깨의 효능과 섭취방법 (1) | 2022.01.06 |
운동 후 무엇을 먹을까? (0) | 2022.01.04 |
붉은 과일이 건강에 더 좋다 (0) | 2022.01.04 |
최근댓글